맨위로가기

이영호 (1992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이영호는 1992년 출생의 전 프로게이머로, 2007년 KT 롤스터에 입단하며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뛰어난 실력을 보여주며, 2008년 박카스 스타리그에서 최연소 우승을 차지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이후 EVER 스타리그 2009, 하나대투증권 MSL 2010, 빅파일 MSL 2010,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에서 우승하며 골든 마우스를 획득했고, ABC마트 MSL 2011에서 우승하며 금배지를 획득, e스포츠 역사상 최초이자 최후의 골든 그랜드 슬램을 달성했다. 또한, 스타크래프트 II로 전향하여 IEM Toronto에서 우승하는 등 다양한 기록을 세웠다. 2015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하여 ASL에서 4회 우승하며 통산 개인리그 10회 우승을 달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골든마우스 수상자 - 이제동
    이제동은 2006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저그 최강자로 군림하며 메이저 개인리그 5회 우승을 차지했고, 스타크래프트 II로 종목을 전환하여 활동하다 2016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
  • 골든마우스 수상자 - 박성준 (1986년)
    박성준은 2002년 데뷔하여 저그 최초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및 로열로더 등극,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시절 세 차례 스타리그 우승, 2008년 EVER 스타리그 우승으로 두 번째 골든 마우스 수상 등 괄목할 만한 업적을 남긴 스타크래프트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 MSL 금배지 수상자 - 최연성
    최연성은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MSL 3회 우승, 스타리그 2회 우승, WCG 2006 금메달 등의 우승 경력을 쌓았고 SK텔레콤 T1 코치 시절 혁신적인 빌드로 '빌드 깎는 노인'이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리그 오브 레전드 감독으로 아프리카 프릭스 팀을 이끌어 2018년 롤드컵 8강에 진출한 전직 프로게이머이자 前 LoL 프로게임단 감독이다.
  • MSL 금배지 수상자 - 이윤열
    대한민국의 前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자 게임 개발자, 사업가인 이윤열은 혁신적인 전략과 뛰어난 실력으로 '천재 테란'이라 불리며 스타크래프트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에서 활약, 온게임넷 스타리그 골든 마우스 최초 수상 등 다수 우승 기록을 세운 후 게임 개발자로 활동하고 있다.
  • MSL 우승자 - 이제동
    이제동은 2006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저그 최강자로 군림하며 메이저 개인리그 5회 우승을 차지했고, 스타크래프트 II로 종목을 전환하여 활동하다 2016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
  • MSL 우승자 - 강민 (프로게이머)
    강민은 독창적인 전략과 뛰어난 경기 운영으로 스타크래프트 역사상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으며, 은퇴 후에는 e스포츠 해설가로 활동하며 e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인물이다.
이영호 (1992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3년의 이영호
본명이영호
로마자 표기I Yeong-ho
별명최종 병기
출생일1992년 7월 5일
출생지대전직할시 서구
국적대한민국
직업프로게이머
주 종족랜덤
과거 주 종족테란
소속 팀KT 롤스터 (2007–2015)
데뷔2007년
은퇴2015년
수상 경력
WCG우승 (2010)
IEM우승 (2014 토론토)
OSL3회 우승 (2008, 2009, 2010)
MSL3회 우승 (2010, 2011)
ASL4회 우승 (2016, 2017, 2019)
메달 기록
아시안 실내 무도 게임금메달 (2009 베트남,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은메달 (2013 대한민국, 스타크래프트 II: 군단의 심장)
기타 정보
원숭이띠
취미영화 보기
특기게임
좌우명나는 기억에 남는 프로게이머가 될 것이다.
키보드Razer Blackwidow Tournament Edition
마우스Razer Krait

2. 선수 이력

이영호는 2007년 만 14세의 나이로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 선수로 입단했다.[5] 2007년 Daum 스타리그 (OSL) 데뷔전에서 당시 MSL 챔피언 김택용을 꺾고 4강에 진출하는 파란을 일으켰으나, 최종 우승자 김준영에게 패했다.[6] 그 해 KeSPA 신인상을 수상했다.[7]

2008년 3월에는 GOMTV 스타 인비테이셔널과 박카스 스타리그 2008에서 모두 우승하며, 두 결승전 모두 송병구를 꺾었다.[8] 박카스 스타리그 2008 우승으로 역대 최연소 OSL 챔피언이 되었다.[9]

박카스 스타리그 2008 트로피를 들고 있는 이영호


2010년에는 8개의 주요 대회 결승에 진출하여 그 중 5번 우승하는 기염을 토했다.[4] 2011년에는 근육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오른팔 수술을 받았다.[10] 2012년 9월까지 이영호는 17개의 주요 토너먼트에서 우승했으며, ''스타크래프트'' ELO 기록을 6번이나 경신했는데, 이전 모든 ELO 기록 또한 이영호가 보유하고 있었다.[11]

2012년 이영호는 ''스타크래프트 II'' 프로 선수로 전향했다. 2014년 Intel Extreme Masters Toronto에서 우승하며 첫 번째 ''스타크래프트 II'' 주요 대회를 석권했다. 같은 해 KT 롤스터를 프로리그 우승으로 이끌었다.

IEM Toronto 2014 우승 후 이영호


이영호는 2015년 12월 1일 은퇴를 발표했다.[4] 당시 그는 ''브루드 워''에서 80%에 가까운 승률을 기록했으며, 수년간 KeSPA 공식 랭킹 최상위권을 유지했다.[12] 이후 그는 다시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를 플레이하기 시작했으며, 2016년 2월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1] 그 해 아프리카TV 시즌 2 스타리그에서 우승했고, 2017년에는 아프리카TV 시즌 3 스타리그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13]

2017년, 이영호는 ASL에서 3시즌 연속 '골든 트로피'를 획득했다. 서울 성동구 한양대학교 올림픽 체육관에서 열린 KT GiGA 인터넷 아프리카 스타리그(ASL) 시즌 4 결승전에서 조일장을 3:1로 꺾고 3회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ASL 누적 상금 1억을 돌파했다.[14] 2018년, "Olleh TV ASL 시즌 6" 결승전에서는 김정우에게 패배했다.[15]

2019년, 이영호는 팔 부상으로 ASL 시즌 7을 건너뛰었으나, 다음 ASL 시즌 8에 참가하여 장윤철을 상대로 4:0으로 승리하며 4번째 ASL 우승을 차지했다. 2020년 4월에는 종족을 테란 대신 랜덤으로 변경하여 플레이하겠다고 발표했다.[16]

이영호는 2010년 9월 11일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결승전에서 이제동을 꺾고 골든 마우스를 차지했다. 이어 WCG 2010 스타크래프트 부분 그랜드 파이널에서 김구현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 ABC마트 MSL 2011 결승전에서 김명운을 꺾고 금배지를 차지하며 프로게이머 최초로 '''골든 그랜드 슬램'''을 달성했다. MSL 폐지 이후, 이 기록은 '최초이자 최후'의 골든 그랜드슬램이 되었다.[23] 2017년 11월 12일, ASL 시즌4 우승으로 스타리그 3회 우승, MSL 3회 우승, ASL 3회 우승을 달성하여 '''3-3-3 클럽 최초 가입'''과 '''골든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 골든마우스, 금뱃지, 골든트로피, 금메달을 모두 보유한 전세계 최초이자 유일한 선수가 되었다.

2. 1. 아마추어 시절

이영호는 초등학교 시절 자신의 형이 스타크래프트를 하는 것을 보고 처음 스타크래프트를 즐기기 시작했다. 집에 컴퓨터가 없을 정도였고, 부모님은 게임을 전혀 하지 못하게 하였다. 중학교 2학년 여름 방학, 이영호는 부모님께 프로게이머가 되고 싶다는 꿈을 말했고, 부모님은 크게 반대했다. 이영호는 부모님을 설득하기 위해 한 달 만에 준프로게이머 자격을 따겠다고 약속했고, 약속대로 한 달 만에 극적으로 준프로게이머 자격을 땄다.[24]

그 후 온게임넷 스파키즈와 팬택 EX (위메이드 폭스) 연습생으로 활동했다. 팀에 들어간 뒤 1~2달 후 랭킹전을 했는데, 이후 6개월 동안 계속 1위를 할 정도로 강력한 유망주였다. 하지만 연습생으로만 있을 수 없어 KT 롤스터와 전속계약을 하면서 본격적인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했다. 따라서 이영호는 폭스 출신이 아니라 순수 KTF에서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한 선수이다.[24]

2. 2. 데뷔 초기

2007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KTF 매직엔스(현 KT 롤스터)에 추천선수로 입단하였다.[5]

데뷔 직후 첫 개인리그인 다음 스타리그 2007에 진출, 8강에서 김택용(당시 MBC게임 히어로)을 2:0으로 꺾는 파란을 일으키며 4강까지 진출하였다. 비록 4강에서는 김준영(당시 한빛 스타즈)에게 2:3으로 져 로열로더의 꿈은 이루지 못했으나 주목받는 신인으로 떠올랐다.[6]

송병구(현 아프리카TV 파트너 BJ)는 다음 스타리그 2007 3·4위전에서 이영호를 3:0으로 완파하고, EVER 스타리그 2007 8강에서도 1:2로 승리하며 초기 천적 관계를 형성하였다.[8]

2. 3. 박카스 스타리그 2008 우승

곰TV 스타 인비테이셔널에서 오영종(당시 르카프 OZ(현재 은퇴)), 이제동(당시 화승 OZ) 등을 연파하며 결승에 오른 이영호는 송병구를 상대로 5세트까지 가는 접전 끝에 3:2로 승리하였다. 결승에서 이영호는 흔히 업테란이라고 불리는, 메카닉 병력의 업그레이드와 골리앗 양산을 중시한 안티캐리어 빌드를 들고와 송병구의 캐리어를 무력화시켰다.[8]

2주 후, 박카스 스타리그 2008 결승에서 송병구와 다시 만난 이영호는 캐리어 빌드를 준비한 송병구를 심리전에서 완벽하게 이기며 3:0으로 셧아웃 시키며 자신의 첫 메이저 개인리그 타이틀을 획득함과 동시에 만 15세 8개월 10일의 나이로 양대 방송사를 통틀어 최연소 개인리그 우승 기록을 세웠다.[8][9] 종전까지의 기록은 2007년 11월 17일, 곰TV MSL 시즌3에서 우승했던 박성균(당시 위메이드 폭스, 현재 KT 롤스터)의 만 16세 1개월 14일이었다. 이 최연소 우승 기록은 현재(2019.09.08)까지도 깨지지 않고 있다. 박카스 스타리그 2008에서 이영호는 8강에서 이제동, 4강에서 김택용, 결승전에서 송병구를 제압함으로써, 즉 택뱅리를 모두 꺾고 우승하여 많은 주목을 받게 되었다.

2. 4. 소년가장 시절과 부활의 신호탄

스타리그 우승 이후 이영호는 아레나 MSL 4강에서 탈락한 이후 개인리그 8강의 벽을 넘지 못하며 슬럼프를 겪었다. 특히 저그전에 난조를 보이며 박찬수, 박명수, 김준영, 한상봉 등에게 패배하였다. 이영호가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한 데에는 빡빡한 스케줄과 컨디션 난조가 있었다.[23]

2009년 6월 30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시즌 삼성전자 칸과의 경기 에이스 결정전에서 이성은을 상대로 거의 이길 수 없는 상황을 엄청난 근성으로 버텨내며 역전승을 거두면서 부활의 신호탄을 쏘았다. 이영호는 프로리그 정규시즌에서 54승을 기록하면서 다승왕을 수상하였으나, 팀 동료들의 부진으로 KT 매직엔스의 포스트시즌 진출은 좌절되었다. 이 시기에는 이영호가 혼자 승리하고 다른 선수들은 패배하여 결국 팀도 패배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소년가장'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개인리그에서는 부진하였어도 프로리그에서는 좋은 경기력으로 많은 승리를 거두었으나, 백업 선수가 부족해 팀의 순위는 하위권을 맴돌았고 포스트시즌 진출을 문 앞에서 놓치는 등(5위, 7위 기록) 팀이 부진하던 시기였다.[23]

2009년 7월,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3에서 11승 전승으로 결승에 진출했으며, 변형태와 치른 결승전에서 3:1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이 우승을 계기로 다시 한번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올렸다. 뒤이어 11월, 실내아시아경기대회에서도 정명훈을 상대로 결승전에서 2:0으로 승리하며 국가대표로서 첫 금메달을 획득한다.[23]

2. 5. 스타리그 두 번째 우승과 MSL 첫 준우승

2009년 12월, EVER 스타리그 2009 8강전에서 이영호는 숙적 이제동에게 2:0으로 승리하며 4강에 진출한다. NATE MSL 2009 16강에서는 김명운을 2:1로, 8강에서는 천적 도재욱을 3:0으로 꺾고, 4강에서는 한상봉에게 3:1로 승리하며 이전의 패배를 설욕한다. 이영호는 양대 개인리그 결승에 진출했을 뿐만 아니라, 프로리그에서도 전무후무한 대 테란전 22연승을 기록하는 등 압도적인 실력을 보여주며 당대 최강의 프로게이머임을 입증했다. EVER 스타리그 2009 결승에서는 로열로더 후보이자 강민 이후 첫 CJ의 프로토스 결승 진출자인 진영화를 3:1로 제압하며 스타리그 두 번째 우승을 차지한다. 첫 번째 우승 이후 개인리그에서 다소 부진하며 소년가장 역할을 했던 이영호에게는 약 2년 만의 우승이었으며, 마음고생이 심했던 탓에 스타리그 첫 번째 우승에서도 보이지 않았던 눈물을 보였다.[23]

스타리그 2회 우승을 달성한 이영호는 라이벌 이제동과의 NATE MSL 2009 결승전에서 1:1 동점 상황에서 3경기 도중 발생한 초유의 정전 사태(온풍기 과열이 원인으로 밝혀짐)로 인해 판정패를 당하고, 연이어 4경기에서도 패배하며 3:1로 준우승에 그치고 양대 리그 우승에는 실패하게 된다.[23]

2. 6.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우승과 MVP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에서 이영호는 47전 41승 6패, 승률 87.2%라는 경이적인 기록으로 위너스리그 랭킹 1위를 차지하며 팀을 결승전에 진출시켰다.[23] 2010년 4월 3일, MBC게임 HERO와의 결승전에서 팀이 1:3으로 뒤지고 있는 상황에 대장으로 출전, 염보성, 박수범, 김재훈을 연달아 꺾고 KT 롤스터의 창단 10년 만의 첫 우승을 이끌었다.[23] 이 공로로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결승전 MVP를 수상했다.[23]

2. 7. 골든 마우스 획득 좌절과 MSL 첫 우승

이영호는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결승전에서 우승한 후,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하나대투증권 MSL 2010 4강에서 각각 박세정과 윤용태를 3: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 결승전에서는 김정우를 상대로 2:0까지 앞섰으나, 내리 3세트를 내주면서 변형태, 정명훈 감독에 이어 스타리그 결승 통산 3번째 리버스 스윕(패패승승승)의 희생자가 되어 골든마우스 획득에 실패했다.[23]

하나대투증권 MSL 2010 결승전에 출전한 '''이영호'''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에서의 패배 이후 잠시 주춤했지만, 하나대투증권 MSL 2010 결승전에서 라이벌 이제동을 3:0으로 꺾고 우승하며 이제동의 금배지 획득을 좌절시키고 본인의 첫 MSL 우승을 달성했다. 이로써 이영호는 프로게이머 가운데 8번째로 개인리그 3회 우승, 7번째로 양대리그 정상을 밟는 선수가 되었으며,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 결승전에서의 역전패를 극복하고 5전제 리쌍록에서 처음으로 이제동에게 승리했다.[23]

2. 8. 3연속 양대 리그 결승 진출

이영호는 역대 최초로 2연속 양대 리그(스타리그, MSL) 결승 진출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에서는 김정우에게 패배하여 골든 마우스 획득에는 실패했지만, 하나대투증권 MSL 2010에서 이제동을 3-0으로 꺾고 MSL 첫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빅파일 MSL 2010 결승에 진출하며 3회 연속 양대 리그 결승 진출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빅파일 MSL 2010 결승에서는 이제동을 3-2로 꺾고 우승했으며,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결승에서도 이제동을 3-1로 꺾고 이윤열 이후 테란으로서는 두 번째로 골든 마우스를 획득했다.[23]

2. 9.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우승과 MVP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에서 이영호는 73전 57승 16패, 승률 78.1%로 다승 1위를 기록하며 KT 롤스터가 정규시즌 1위로 광안리 결승전에 진출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 2010년 8월 7일, SK텔레콤 T1과의 광안리 결승전에서 6세트에 출전해 박재혁에게 승리하면서 5년 만의 통신사 더비에서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고,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결승전 MVP를 수상했다.[23] 이로써 KT 롤스터는 10년 무관의 한을 풀고 정규시즌, 위너스리그, 결승전 우승으로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통합 우승을 달성하였다. 이영호는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다승왕 및 MVP,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MVP,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결승전 MVP를 모두 차지하며 09-10 시즌을 자신의 해로 만들었다.[23]

2. 10. 스타리그 골든 마우스

중국 상하이 동방명주에서 열린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결승에서 라이벌 이제동을 3:1로 꺾고 골든 마우스를 차지하였다.[23] 이를 계기로 팬들은 전무후무한 포스를 내뿜는 이영호를 갓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2. 11. WCG 금메달

WCG 2010 한국대표 선발전 스타크래프트 부문에서는 이제동에게 1:2로 패해 준우승에 그쳤지만, WCG 2010 그랜드 파이널 스타크래프트 부문에서는 4강에서 이제동을 다시 만나 2:1로 꺾고 결승에서는 김구현을 2:0으로 꺾으며 첫 WCG 금메달을 획득했다.[23] 이로써 이영호는 MSL 3회 우승에 해당하는 금배지를 제외한 모든 커리어를 획득하면서 명실상부 최강의 프로게이머로 등극했다.

2. 12. 양대 리그 조기 탈락

3연속 양대리그 결승 진출, 10개월 연속 KeSPA랭킹 1위 등 최고의 기량을 뽐내던 이영호는 갑작스럽게 양대리그에서 조기 탈락하는 부진을 겪었다. 박카스 스타리그 2010 16강 A조에서는 김구현에게 패하고, 정경두를 상대로 승리했지만, 박재혁에게 패배했다. 1승 2패 상황에서 재경기를 기대해야 했으나, 김구현이 정경두에게 승리하면서 이제동과 함께 16강에서 탈락했다. 이로써 이영호는 BATOO 스타리그 08-09, 박카스 스타리그 2009에 이어 세 번째로 스타리그 16강 탈락이라는 굴욕을 맛보았다.

이에 앞서 피디팝 MSL 2010 32강에서는 개막전(12월 16일)에서 최호선에게 패하며 불안하게 출발했고, 패자전에서도 김도우에게 패하며 2연패로 32강에서 탈락했다. 이는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 이후 2년 만의 MSL 32강 탈락으로, 양대리그에서 이변의 희생양이 된 사건이었다.

2. 13.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과 위너스리그에서의 활약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1, 2라운드에서 이영호는 20전 18승 2패라는 뛰어난 성적을 기록하며 팀의 에이스임을 증명했다. 2010년 11월 30일 경기에서 박대호를 꺾고 에이스 결정전 연패를 끊었으며, 위너스리그에서는 30전 25승 5패의 성적으로 팀의 결승 진출에 크게 기여했다. T1전 역3킬, 하이트전 역3킬, MBC게임전 역3킬, 위메이드전 역올킬을 달성하기도 했다. 하지만 위너스리그 대장전 32연승이 전태양에게 저지되었고, T1과의 결승전에서는 4세트에 출전해 이승석의 올킬은 막았으나, 5세트에 출전한 김택용에게 패배하며 T1에게 우승을 내주었다.[23]

2. 14. MSL 3회 우승, 금배지 획득, 골든 그랜드 슬램

2011년 6월 11일, 이영호는 ABC마트 MSL 2011 결승에서 웅진 스타즈의 김명운을 상대로 자신의 주특기인 대저그전에서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며 3:0으로 완파, MSL 3회 우승 및 금배지를 획득했다.[23]

이영호는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우승(골든 마우스), WCG 2010 스타크래프트 부문 우승(금메달)에 이어 금배지까지 획득하며 e스포츠 역사상 최초로 '''골든 그랜드 슬램'''을 달성했다.[23] 이는 스타크래프트 통산 6회 우승으로, 이윤열과 타이기록이다.

ABC마트 MSL 2011을 끝으로 MSL이 폐지되어, 이영호의 골든 그랜드 슬램은 최초이자 최후의 기록으로 남게 되었다.[23] 최단 기간, 최연소 기록이었기에 이영호는 이윤열을 넘어 스타크래프트 1 최고의 선수로 평가받는다.

2. 15.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우승, 결승전 MVP

서울 어린이대공원 능동 숲 속의 무대에서 열린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결승전에서 이영호는 자신을 겨냥한 도재욱을 두 번 꺾고 팀 우승을 확정지었다. 특히 5세트에서는 3연벙(상대방 본진 앞마당에 3개의 벙커를 연속으로 지어 앞마당을 파괴하고 적 유닛을 제압하는 전략)을 성공시켜 도재욱의 기세를 꺾었고, 에이스 결정전에서는 200 대 200 물량 전투에서도 압승을 거두며 도재욱을 제압했다.[23]

이날 결승전 MVP는 이영호가 차지했으며, 2년 연속 프로리그 결승전 MVP라는 기록을 세웠다. 이 승리로 도재욱과의 상대 전적에서 6:7로 앞서나가며 천적 관계를 해소했다.[23]

2. 16. 손목 부상과 11-12 프로리그에서의 활약

2011년 3월부터 이영호는 손목에 통증을 호소하며, 팀의 위너스리그 우승 실패와 KeSPA 랭킹 1위 유지 실패, 그리고 이후 5~6라운드에서의 잦은 패배 등으로 이전보다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프로리그에서 5연패를 기록하기도 했으나, 손목 부상에도 불구하고 ABC마트 MSL 2011에서 우승하고 프로리그 결승전에서 팀을 우승으로 이끄는 등 여전한 활약을 펼쳤다.[23] 진에어 스타리그 2011에서는 3승으로 8강에 진출했으나, 8강에서 허영무에게 1:2로 패배하며 4강 진출에는 실패했다.

이후 2011년 9월, 이영호는 손목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강원도에서 재활 기간을 보낸 후 새로운 프로리그를 맞이하게 된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에서 이영호는 매끄러운 경기력으로 14연승을 기록하며 손목 부상 이후 화려하게 부활했다. 특히 이 시기 이영호의 BGM은 'electric romeo'였는데, 이는 이영호의 절대 강자 이미지에 잘 어울린다는 평가를 받았다. 비록 당시 SouL의 신예였던 백동준의 전략에 의해 연승 기록은 중단되었으나, 14연승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하며 프로게이머 1위의 위엄을 보여주었다.

이영호는 해당 프로리그에서 최단기간 프로리그 200승을 달성했고, e스포츠대상에서 테란 최우수선수상과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으며, 프로리그 5주차 및 1라운드 MVP로 선정되는 등 상승세를 이어갔다. 2012년 3월 4일, 신상문과의 대결에서 승리하며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의 다승왕(15승)으로 선정되었고, 프로토스전 2패(손석희, 백동준)를 제외한 테란, 저그전에서는 100% 승률을 기록했다. 또한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 MVP를 수상하며 팀을 결승전까지 이끄는 데 큰 역할을 했다.

2012년 4월 8일,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열린 T1과의 결승전에서 이영호는 뛰어난 경기력을 보였으나, 2세트에서는 정명훈 감독의 다수 레이스에, 에이스 결정전에서는 김택용의 발업 질럿에 패배하며 하루 2패를 기록했고, 팀은 프로리그 통산 3번째 준우승에 머물렀다.

2. 17. 7회 우승의 좌절, 스타리그 15회 연속 진출 달성

Tving 스타리그 2012에서 이영호는 개인리그(스타리그+MSL) 6회 우승으로 이윤열과 타이 기록을 이루고 있었기에, 스타1으로 열리는 마지막 스타리그에서 전무후무한 7회 우승을 달성할 수 있을지가 큰 관심사였다. 16강에서 허영무, 이신형에게 패하며 탈락 위기에 몰렸으나, 재경기 끝에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이영한을 상대로 재경기 판정 논란에도 불구하고 3-1로 승리하며 4강에 진출, 우승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그러나 4강에서 정명훈에게 0-3으로 완패하며 결승 진출에 실패, 7회 우승은 좌절되었다. 이영호가 메이저 개인리그에서 0-3으로 완패한 것은 다음 스타리그 2007 3, 4위전 이후 5년 만의 일이었다.[23]

한편, 이영호는 다음 스타리그 2007을 시작으로 15시즌 동안 스타리그 본선에 꾸준히 진출하는 대기록을 세웠다. 옥션 스타리그 2012 듀얼 예선에서 이병렬, 김성현을 꺾고 14회 연속 스타리그 진출에 성공했으며, 이는 이영호만의 단독 기록이었다. 이후 WCS로 전환된 스타리그에도 진출하며 15회 연속 진출이라는 대업을 달성했다.

2. 18.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2에서의 부진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시즌 2에서 이영호는 개막전에 자신의 천적인 김정우에게 패배하였으나, 이후 3연승을 기록했다. 하지만 스타1과 스타2가 병행되면서 이전 프로리그에 비해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특히 스타2 종목에서는 6승 8패라는 아쉬운 성적을 거두었다.[23]

이영호는 프로리그 경기에서 주로 자원 중심적인 전략을 사용하다 허무하게 패배하기도 했지만, 기존 전략을 무작정 따라하기보다는 스타1에서의 자신의 장점을 스타2에 접목시키려는 노력을 보였다. 하지만 스타1과의 병행으로 인해 스타2 경기력은 아직 미완성이었고, 이영호의 부진으로 팀은 연패를 거듭하며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23]

2. 19. 스타크래프트 II 에서의 새로운 가능성

스타2로 진행된 옥션 스타리그 2012 16강에서 3명의 프로토스에게 모두 승리하며 8강에 진출했으나, 김성현에게 2:3으로 역스윕 당하며 탈락하였다.[23]

핫식스 GSL 시즌4 코드A 예선을 전승으로 통과하였으나, 코드A 2라운드에서 변현제에게 패배, 승격강등전에서 2승 2패를 기록했지만 승자승 원칙에 의해 코드S 진출에 실패하였다.[23] 핫식스 GSL 시즌5에서는 코드A 2라운드에서 전태양에게 패배하여 다시 승격강등전에 진출하였다.[23]

2012년 11월, MLG Fall Championship 2012 8강에서 이승현을 2:0으로 꺾었으나, 패자조에서 다시 올라온 이승현에게 2:4로 패배하였다. 하지만 MLG Fall Championship 3위를 기록하였다.[23]

2013년 1월 6일, 프로리그에서 EG-TL을 상대로 스타2 첫 올킬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같은 날 GSL 승격강등전에서 3승 2패를 기록하고도 승자승 원칙에 밀려 코드S 진출에 실패하였다. 이날 이제동과의 경기는 스타2로 이루어진 첫 리쌍록이었으며, 이제동에게 패배하였다.[23]

2013년 9월 6일 인터뷰에서 이영호는 스타크래프트:브루드워만큼 스타크래프트2에 흥미를 느끼지 못해 연습에 집중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허영무, 도재욱, 김재훈, 김택용 등 많은 선수들이 은퇴를 선택했고, 자신도 프로게이머 생활에 회의감을 느꼈다고 한다. 하지만 동료들의 격려와 태국 파타야 여행을 통해 마음을 다잡고 다시 연습에 몰두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23]

2. 20. 12-13 프로리그에서의 활약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에서 이영호는 다시 에이스의 모습을 되찾아 팀의 승리를 견인했다. 위너스리그로 진행된 2라운드에서는 EG-TL을 상대로 올킬을 기록하였고, SK텔레콤 T1을 상대로는 3킬을 기록했다. 프로리그 전적 42승 19패로 다승왕을 차지했으며, 통산 5회로 역대 프로게이머 중 가장 많은 다승왕 기록을 보유하게 되었다.

2. 21. 첫 GSL Code S 진출

스타크래프트 2로 종목이 전환된 후, 이영호는 GSL 예선전을 한 번에 통과하여 Code A에 진출하였다. 비록 승강전 방식에 의해 코드 S 진출에 두 번이나 실패하였으나, 2013년 2월 27일 SK텔레콤의 주전이자 가장 강한 프로토스인 정윤종을 상대로 엄청난 스피드와 견제를 통해 2:0으로 제압하고 처음으로 GSL Code S에 진출하는 데 성공하였다.[23]

2. 22. 개인리그에서의 선전과 부진

인천 실내무도아시아경기대회 스타크래프트 II 부문에서 준우승을 차지했지만, 국내 개인리그에서는 부진했다. 2013 망고식스 GSL 코드 S, 2013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3 조군샵 GSL에서 모두 16강 탈락을 기록했다.[23] WCG 2013 한국 대표 선발 예선전에서는 아마추어 게이머 김동균에게 패배하기도 했다.

해외 대회인 IEM과 드림핵에서도 각각 16강과 32강에서 탈락했다.

2. 23. 프로게이머 데뷔 이후 첫 예선 추락, 프로토스전의 부진

2014년 1월 16일, 2014 WCS 코리아 시즌 1 핫식스 GSL 코드 A 48강에서 최용화노준규에게 연패하며 프로게이머 데뷔 이후 처음으로 개인리그 예선으로 떨어졌다. 특히 프로토스에게 가장 많은 패배를 기록했고, 예선 탈락 전에도 프로토스에게 패배하였다. 다만 스타리그는 듀얼 시드 자리에 있어 해당되지 않았다.[23]

이후 핫식스 GSL 시즌2 예선전에 참가, 4강 첫 경기에서는 신인 박진혁에게 패배하였지만, 패자전에서는 채도준을, 최종전에서는 자신을 탈락시켰던 노준규를 상대로 각각 2:0으로 승리하며 본선에 진출하였다. 그러나 코드 A 첫 경기에서 신동원에게 0:2로 패배, 패자전에서 한재운을 상대로 2:0 승리를 거뒀으나 최종전에서 이영한에게 1:2로 패배하며 다시 예선으로 떨어졌다.[23]

2. 24. 2014년 중반기, 부활의 서막을 알리다

2014년 7월, 이영호는 GSL 코드A 시즌3 예선에서 조 1위로 코드 A에 복귀했다. 코드 A 경기에서 강동현을 2:1로, 승자전에서 변영봉을 2:0으로 꺾고 세 시즌 만에 GSL 코드 S에 복귀하는 데 성공했다.[4]

같은 해 7월 29일, 프로리그 통합 포스트시즌에서 김유진을 상대로 승리했다. 8월 9일에는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통합 결승전에서 천적 원이삭에게 승리하여 팀 우승에 기여했고, 통합 결승전 MVP로 선정되기도 했다.[4]

8월 11일과 12일에 걸쳐 진행된 IEM Season IX - Toronto 예선에서 이영호는 1차 예선에서 김기현, 고병재, 백동준, 조성주를 꺾고 2차 예선에 진출했다. 2차 예선 승자 4강전에서는 주성욱에게 패했으나, 어윤수, 김지성, 김도우, 김준호, 양희수를 차례로 꺾고 본선에 진출했다.[4]

8월 18일에는 2014 KeSPA컵 예선에서 송현덕, 박수호, 김민철, 신노열, 조성주, 김정우가 포함된 조에서 생존하며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4]

2. 25. 스타크래프트 II 프리미어급 대회 첫 우승

IEM Season IX - Toronto에 참가한 이영호는 16강 첫 경기에서 장민철에게 1:2로 패배, 패자전으로 내려갔지만 이후 패자전에서 'Scarlett' 사샤 호스틴에게 2:0으로 승리한 후 최종전에서 장민철을 다시 만나 2:0으로 승리하며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김준호김유진을 격파한 'Snute' 얀스 아스가드를 만나 초반 2연패를 하며 0:2 스코어로 밀렸으나 나머지 세 경기를 모두 승리하며 '패패승승승'을 기록, 4강에 진출했다.

4강에서는 윤영서를 상대로 3:1로 승리하고 결승에 진출했으며, 결승전에서는 같은 팀 소속 선수인 주성욱을 4: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영호는 IEM Season IX - Toronto 우승을 통해 이제동에 이어 두 번째로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 개인리그 우승자 출신 선수로 스타크래프트 II 프리미어급 대회 우승에 성공한 선수가 되었다.

2. 26. 2015년 부진 그리고 비상

2014년 막바지부터 핫식스컵, 스타리그, 프로리그 등 공식전 11연패를 기록하며 부진에 빠졌으나, 2015 프로리그에서 프라임의 최종혁을 꺾고 연패에서 탈출했다.[23]

이후 케스파컵에서 4강에 오르며 어윤수(저그)에게 패배했지만, 양대 개인리그 우승 및 4강 진출자인 김도우(프로토스)와 이원표(저그)를 잡아내며 실력을 입증했다. 프로리그에서 김준호를 상대로 2연승을 거두고, 코드A에서 김준혁(저그)을 꺾고 올라갔다.[23]

GSL 16강에 복귀하여 이신형(테란), 양희수(프로토스), 이원표(저그)가 속한 조에서 살아남았다. 첫 경기에서 이신형에게 패배했지만, 패자전과 최종전에서 승리하며 16강에 진출했다. 비록 16강 징크스를 넘지 못하고 탈락했지만, 프로리그에서 11승을 달성하며 10시즌 연속 두 자릿수 승수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팀의 4라운드 우승 및 통합 포스트시즌 진출에 기여했고, 준플레이오프에서 진에어 그린윙스를 상대로 조성호, 이병렬, 조성주를 꺾는 활약을 펼쳤다.[23]

2. 27. 2015년 프로리그 10시즌 연속 2자리 승수 대기록 달성

2015년 8월 17일, 이영호는 2015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4라운드 3세트에서 황규석(프라임) 선수를 꺾고, 10시즌 연속 2자리 승수를 달성하였다.[23] 이 경기를 통해 이영호는 2015시즌 4라운드 5주차 MVP를 수상하였다. 이영호는 철저한 자기관리를 통해 10연속 프로리그 시즌 2자리 승수라는 대기록을 달성하였다.

2. 28. 2015년 시즌, 은퇴

2015년 12월 1일, 이영호는 KT 롤스터와 계약을 해지하며 프로게이머 은퇴를 선언했다.[4]

2. 29. 2016년,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다

2015년 12월 은퇴식을 가진 이후 여러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이영호가 아프리카 TV에 온다.'라는 소문이 유행하였다. 이후 여러 언론에서도 일제히 이영호의 아프리카 TV 진출에 관한 기사들을 쏟아냈고, 여러 프로게이머들도 이영호가 아프리카 TV에 진출하는 것이 사실이라고 언급하였다. 그러던 중 2016년 새해가 되어 아프리카 TV 측이 공식적으로 이영호의 아프리카 TV 페이지를 개설해 줌과 동시에 이영호의 아프리카 TV 진출 선언 공식 인터뷰 영상까지 게재하였다.[1]

그 후 이영호는 2016년 2월 아프리카 TV에서 공식적으로 첫 개인방송을 시작하였다. 처음 시작은 2010년 전성기만큼의 실력은 아니었지만, 이후 자신의 실력을 점점 끌어올리며 프로게이머들과의 스폰전 콘텐츠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기 시작했다. 이후 콘텐츠를 확대하여 아프리카 TV 파트너 BJ 및 상위 20인 안에 드는 성과를 거두었다.[1]

2. 30. 자신의 자리를 되찾기 위한 도전

2016년부터 방송을 시작하면서 여러 프로게이머 BJ들을 차례대로 꺾으며 예전의 모습을 되찾고 있었다. 2013년부터 시작된 개인리그에서의 부진과 스타크래프트 II에서 성공하지 못한 아쉬움이 컸기에, 이영호는 새로운 도전에 대한 열망이 컸다. 마침 대외적으로 스타크래프트1 리그가 2012년 이후 다시 성행하는 분위기였기 때문에 이영호는 더욱더 열의를 불태우게 된다.[23] 2015년 반트 대국민 스타리그에 이어 아프리카TV가 주관하는 ASL 시즌1이 개막한다는 소식을 듣고, 이영호는 다시 자신의 왕좌를 되찾기 위한 도전을 시작한다.

ASL 시즌1은 2016년 6월 25일부터 예선전을 시작으로 3개월간 진행되었다. 이영호는 서울 지역 예선에 출전하여 통과하고, 7월 17일부터 시작된 본선 16강 C조에서 김명운, 박성균, 염보성과 한 조가 되어 김명운(승), 염보성(패), 박성균(승)의 성적으로 8강에 진출한다. 하지만 8강에서 ASL 시즌1 전승가도를 달리던 김성현에게 3:0으로 패하며 4강 진출에 실패한다. 이후 이영호는 몇 달 동안 휴식을 취하며 재충전하고 ASL 시즌2를 준비한다.

2017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2에서 8강에서 김승현을 3:1로 꺾고, 4강에서 라이벌 이제동을 3:2로 꺾고, 결승에서 염보성을 3:1로 꺾으며 우승을 차지한다.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3에서도 시즌1에서 자신을 떨어뜨렸던 김성현을 8강에서 3:0으로 꺾고, 김민철을 3:2, 이영한을 3:0으로 꺾고 우승한다. 2017년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출시 축하 행사 GG 투게더 이벤트 경기에서 김택용, 이제동과 맞붙어 2승을 거두었다.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4에서도 8강에서 박성균을 3:0, 4강에서 라이벌 김택용을 3:1, 결승에서 조일장을 3:1로 꺾고 우승을 차지한다.

이후 이영호는 팀리그인 ASL 팀배틀 준우승, 무 프로리그 2회 연속 우승, 아프리카TV 스타크래프트 멸망전 우승을 거두지만, ASL 시즌5와 시즌6에서는 각각 장윤철, 김정우에게 막히며 8강과 준우승에 머무른다.

2. 31. ASL 3회 우승, 골든 트로피 획득, 최초의 골든 트리플 크라운

이영호는 2017년 11월 12일 서울 성동구 한양대학교 올림픽체육관에서 열린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4 결승전에서 조일장을 3대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4] 이로써 ASL 시즌2와 시즌3에 이어 시즌4까지 우승하며 ASL 최초 3연속 우승이라는 위업을 달성했다.[14] 또한 ASL 누적 상금 1억을 돌파했다.[14]

이 우승으로 이영호는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 시절부터 리마스터까지 개인리그 3회 우승자에게 주어지는 금으로 된 상패를 모두 휩쓸었다. 스타리그 3회 우승으로 골든 마우스를, MSL 3회 우승으로 금배지를, 그리고 ASL 3회 우승으로 골든 트로피를 획득하며, '''골든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였다.[23]

2. 32. ASL 4회 우승, 통산 개인리그 10회 우승 달성

2017년 1월, 이영호는 ASL 시즌2에서 처음으로 우승컵을 들어올린 후, 연이어 두 대회를 제패하며 3연속 우승이라는 금자탑을 쌓았다. 이후 서울 광진구 서울어린이대공원 능동 숲속의무대에서 열린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8 결승전에서 장윤철을 4:0으로 완파하고 ASL 통산 4번째 우승컵을 차지했다. 이는 MSL과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기록을 합산해 개인 통산 10번째 우승컵이었다. 이로써 이영호는 단일리그 최초 4회 우승, 통산 개인 리그 10회 우승(역대 최다)이라는 전무후무한 대기록을 달성하며 스타크래프트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14]

3.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의 최후의 테란 우승자

이영호는 ABC마트 MSL 2011에서 우승하며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로 진행된 개인 리그에서 마지막으로 우승한 테란 선수라는 중요한 타이틀을 얻었다.[23] 참고로, 마지막 저그 우승자는 신동원이고, 프로토스 우승자는 허영무이다. 허영무는 마지막 개인 리그 우승자이기도 하다.

4. 플레이 스타일

이영호는 프로게이머로 처음 등장했을 때, 지나치게 '러시' 전략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그는 곧 강력한 기본기, 방어적인 플레이, 그리고 훌륭한 후반 운영을 기반으로 하는 다재다능하고 균형 잡힌 플레이 스타일을 발전시켰다. 최연성은 이영호의 전략적 깊이를 칭찬하며 "전략적인 수를 두는 선수는 많지 않은데, [이영호]의 경우 10수 정도 앞을 내다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영호는 겉보기에는 극복할 수 없는 불리함에 처한 게임에서 방어적인 플레이를 펼치고, 상대방의 작은 실수를 파고들어 다시 유리한 고지를 점하며 역전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5. 가상 화폐 스캔들

Bisu 등 다른 유명 게이머 및 스트리머들과 함께 2021년 가상 화폐 스캔들에 연루되었다. 이영호는 새로운 가상 화폐인 T.ocoin 제작자로부터 금전적 대가를 받았으며, 이후 이 사실을 밝히지 않은 채 해당 가상 화폐에 투자할 것을 공개적으로 언급했다.[21][22] 이는 청중이 편견 없이 순전히 객관적인 장점에 근거하여 제품을 추천한다고 오해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금전적 관계를 공개하지 않고 제품을 홍보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비윤리적인 행위로 간주된다. 이영호는 공개적으로 사과했다.[21][22]

6. 주요 기록

이영호는 여러 스타크래프트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e스포츠 역사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겼다.
주요 우승 기록:


  • 박카스 스타리그 2008 우승 (2008.03.15): 만 15세 8개월 10일의 나이로 양대 개인리그 최연소 우승 기록을 세웠다. 결승전에서 송병구를 3:0으로 꺾었다.[8]

골든 그랜드 슬램 달성:2010년, 이영호는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에서 이제동을 꺾고 골든 마우스를 획득하고, WCG 2010 스타크래프트 부문에서 김구현을 이기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어 ABC마트 MSL 2011에서 김명운을 꺾고 금배지를 차지하며, e스포츠 사상 최초이자 최후의 골든 그랜드 슬램(스타리그 골든 마우스, MSL 금배지, WCG 금메달)을 달성했다.[23]
3-3-3 클럽 및 골든 트리플 크라운:2017년 11월 12일,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최초 공식 대회인 ASL 시즌4에서 우승하며 스타리그 3회, MSL 3회, ASL 3회 우승을 달성하여 3-3-3 클럽 최초 가입골든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 이로써 골든 마우스, 금배지, 골든 트로피, 금메달을 모두 보유한 유일한 선수가 되었다.
개인리그 상금:2010년 한 해 동안 개인리그에서 2.2억의 상금을 획득하여 최다 상금 수령 기록을 경신했다.

2010년 개인리그 상금 내역
대회명상금
EVER 스타리그 20094000만
NATE MSL 2009 준우승2000만
하나대투증권 MSL 20105000만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 준우승2000만
빅파일 MSL 20105000만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4000만
총합2.2억


스타크래프트 II:스타크래프트 II로 전향한 후, 2014년 Intel Extreme Masters Toronto에서 우승하며 첫 번째 프리미어 개인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기타 기록:


  • 2010년 8개의 주요 대회 결승에 진출하여 그 중 5번 우승[4]
  • ASL에서만 1억 돌파[14]
  • 2019년 ASL 시즌 8 우승으로 4번째 ASL 우승

6. 1. 통산 전적

스타1 통산전적 (2012년 8월 26일(마지막 스타1 경기일) 기준, 스타2 전적 제외)
경기승-패승률
대 테란231168–6372.7%
대 저그249179–7071.9%
대 프로토스227158–6969.6%
총합707505–20271.4%



통산전적 (2015년 12월 1일 기준, 스타2 전적 포함)
경기승-패승률
대 테란324221–10368.2%
대 저그404275–12968.1%
대 프로토스375247–12865.9%
총합1100743–36067.4%



이영호는 프로게이머 가운데 역대 최고의 승률을 자랑한다. 유지하기 힘든 트리플 70%에 육박하는 높은 승률을 통산전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이미 여러 번 트리플 70% 승률을 유지했던 적이 있다.

6. 2. TvsP 공식전 최다 연승

이영호는 데뷔 초기부터 프로토스전에 강한 면모를 보였다. 09-10 프로리그와 개인리그를 합쳐 13연승을 기록했다. 특히, 비슷한 시기에 열린 개인리그 4강에서 프로토스 선수들을 상대로 모두 3:0 완승을 거두는 등 압도적인 모습을 보였다.

다음은 이영호의 대 프로토스전 공식전 13연승 기록이다.

날짜상대대회비고
2010년 3월 10일김윤중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R연승 시작
2010년 3월 10일김구현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R
2010년 4월 3일박수범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결승전
2010년 4월 3일김재훈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결승전
2010년 4월 13일김구현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4R
2010년 4월 14일김구현대한항공 스타리그 16강
2010년 4월 19일윤용태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4R
2010년 5월 7일박세정대한항공 스타리그 4강
2010년 5월 7일박세정대한항공 스타리그 4강
2010년 5월 7일박세정대한항공 스타리그 4강
2010년 5월 13일윤용태하나대투증권 MSL 4강
2010년 5월 13일윤용태하나대투증권 MSL 4강
2010년 5월 13일윤용태하나대투증권 MSL 4강
2010년 5월 16일장윤철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연승 종료



이 연승 기록은 2010년 5월 16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4라운드에서 CJ 엔투스의 장윤철에게 패배하며 중단되었다.[23]

6. 3. TvsT 공식전 최다 연승

이영호는 2009년 5월 10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4라운드에서 조병세를 이긴 후, 테란 대 테란 공식전에서 22연승을 기록했다. 이는 특정 종족전 최다 연승 신기록이다(이전 기록은 최연성의 대 저그전 18연승).[23] 2010년 1월 10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라운드에서 박상우에게 패배하며 연승이 종료되기 전까지, 이영호는 테란전에서 압도적인 실력을 보여주었다.[23]

이영호의 테란전 승리 능력은 매우 뛰어나서, 불리한 상황에서도 역전승을 거두는 등 최고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2007년부터 2011년까지 4년 연속 70% 이상의 높은 테란전 승률을 기록했으며, 통산 테란전 승률은 74.1%에 달한다.[23]

다음은 이영호의 대 테란전 22연승 기간 동안의 경기 목록이다.

날짜상대대회
2009년 5월 10일조병세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4R
2009년 5월 13일김경효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4R
2009년 5월 23일정명훈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4R
2009년 6월 6일신상문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5R
2009년 6월 9일정종현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5R
2009년 6월 15일변형태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5R
2009년 6월 20일김창희아발론 MSL 32강 G조 2경기
2009년 6월 20일고인규아발론 MSL 32강 G조 승자전
2009년 6월 24일김도우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5R
2009년 6월 30일이성은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5R
2009년 10월 10일박상우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2009년 10월 20일이성은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2009년 10월 28일구성훈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2009년 11월 9일정명훈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2009년 11월 21일민찬기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2009년 11월 24일박성균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2009년 12월 1일김동건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2009년 12월 9일구성훈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R
2009년 12월 14일염보성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R
2009년 12월 19일한동욱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R
2009년 12월 22일박성균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R
2010년 1월 4일이성은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R
2010년 1월 10일박상우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R


6. 4. 위너스리그 대장전 32연승 기록

이영호는 위너스리그에서 대장(최종 보스)으로 출전하여 32연승이라는 놀라운 기록을 세웠다. 이 기록은 폭스전태양에게 패배하면서 중단되었다. 대장전 통산 전적은 35승 2패이다.

김택용, 이제동과 같은 정상급 선수들도 대장전 연승 기록이 10승이 채 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영호의 32연승 기록은 앞으로도 깨지기 어려운 기록이 될 가능성이 높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에서 위너스리그가 폐지되면서 이 기록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지만,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에서 위너스리그가 부활하면서 새로운 기록을 세울 가능성이 열렸다.[23]

6. 5. 등장 BGM


  • Immediate music - Electric Romeo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25]
  • 용감한 녀석들 - I 돈 care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2)[25]

6. 6. 우승 관련 기록

이영호는 여러 스타크래프트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e스포츠 역사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겼다.

'''주요 우승 기록:'''

'''골든 그랜드 슬램 달성:'''

2010년, 이영호는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에서 이제동을 꺾고 골든 마우스를 획득하고, WCG 2010 스타크래프트 부문에서 김구현을 이기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어 ABC마트 MSL 2011에서 김명운을 꺾고 금배지를 차지하며, e스포츠 사상 최초이자 최후의 '''골든 그랜드 슬램'''(스타리그 골든 마우스, MSL 금배지, WCG 금메달)을 달성했다.[23]

'''3-3-3 클럽 및 골든 트리플 크라운:'''

2017년 11월 12일,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최초 공식 대회인 ASL 시즌4에서 우승하며 스타리그 3회, MSL 3회, ASL 3회 우승을 달성하여 '''3-3-3 클럽 최초 가입'''과 '''골든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 이로써 골든 마우스, 금배지, 골든 트로피, 금메달을 모두 보유한 유일한 선수가 되었다.

'''개인리그 상금:'''

2010년 한 해 동안 개인리그에서 2.2억의 상금을 획득하여 최다 상금 수령 기록을 경신했다.

2010년 개인리그 상금 내역
대회명상금
EVER 스타리그 20094000만
NATE MSL 2009 준우승2000만
하나대투증권 MSL 20105000만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 준우승2000만
빅파일 MSL 20105000만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4000만
총합2.2억



'''스타크래프트 II:'''

스타크래프트 II로 전향한 후, 2014년 Intel Extreme Masters Toronto에서 우승하며 첫 번째 프리미어 개인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기타 기록:'''


  • 스타크래프트: 메이저 개인리그 우승 6회, 준우승 2회[25], 블리자드 공인 개인리그 우승 4회, 준우승 1회[26]
  • 스타크래프트 II: 프리미어 개인리그 우승 1회, 준우승 2회[27]
  • 2008년 곰TV 스타 인비테이셔널 우승[8]
  • Bacchus OSL 타이틀 획득하며 역대 최연소 OSL 챔피언[9]
  • 2010년 8개의 주요 대회 결승에 진출하여 그 중 5번 우승[4]
  • 2017년 ASL에서 3시즌 연속 '골든 트로피' 획득
  • ASL에서만 1억 돌파[14]
  • 2019년 ASL 시즌 8 우승으로 4번째 ASL 우승


6. 7. 수상 이력

이영호는 '''메이저 개인리그 우승 6회, 준우승 2회'''[25], 블리자드 공인 개인리그 우승 4회, 준우승 1회[26], 스타크래프트 II에서 '''프리미어 개인리그 우승 1회, 준우승 2회'''[27]를 기록했다.

프로게이머 최초로 '''골든 그랜드 슬램'''을 달성했다. 2010년 9월 11일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결승전에서 이제동을 3:1로 꺾고 골든 마우스를, WCG 2010 스타크래프트 부분 그랜드 파이널에서 김구현을 2:0으로 꺾고 금메달을, ABC마트 MSL 2011 결승전에서 김명운을 3:0으로 꺾고 금배지를 획득했다. MSL 폐지로 이 기록은 '최초이자 최후'의 골든 그랜드 슬램이 되었다.[23]

2017년 11월 12일,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최초 공식대회인 ASL 시즌4 우승으로 스타리그 3회 우승, MSL 3회 우승, ASL 3회 우승을 달성, '''3-3-3 클럽 최초 가입'''과 '''골든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함과 동시에 골든마우스, 금뱃지, 골든트로피, 금메달을 모두 보유한 전세계 최초이자 유일한 선수가 되었다.

'''스타1 통산 전적''' (2012년 8월 26일 마지막 스타1 경기 기준, 스타2 전적 제외)

경기승-패승률
대 테란231168–6372.7%
대 저그249179–7071.9%
대 프로토스227158–6969.6%
총합707505–20271.4%



'''통산 전적''' (2015년 12월 1일 기준, 스타2 전적 포함)

경기승-패승률
대 테란324221–10368.2%
대 저그404275–12968.1%
대 프로토스375247–12865.9%
총합1100743–36067.4%



프로게이머 역대 최고 승률을 자랑하며, 트리플 70%에 육박하는 고승률을 기록했다.

'''대 프로토스전 연승 기록''' (2010년 3월 10일 ~ 2010년 5월 16일, 총 13연승)

날짜상대대회비고
2010년 3월 10일김윤중투혼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R
2010년 3월 10일김구현매치포인트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R
2010년 4월 3일박수범투혼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결승전
2010년 4월 3일김재훈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결승전
2010년 4월 13일김구현투혼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4R
2010년 4월 14일김구현폴라리스 랩소디대한항공 스타리그 16강
2010년 4월 19일윤용태매치포인트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4R
2010년 5월 7일박세정투혼대한항공 스타리그 4강
2010년 5월 7일박세정폴라리스 랩소디대한항공 스타리그 4강
2010년 5월 7일박세정그레이트 배리어 리프대한항공 스타리그 4강
2010년 5월 13일윤용태투혼하나대투증권 MSL 4강
2010년 5월 13일윤용태폴라리스 랩소디하나대투증권 MSL 4강
2010년 5월 13일윤용태그레이트 배리어 리프하나대투증권 MSL 4강
2010년 5월 16일장윤철매치포인트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대 테란전 공식전 22연승''' (2009년 5월 10일 ~ 2010년 1월 10일) - 공식전 특정 종족전 최다 연승 신기록

날짜상대대회비고
2009년 5월 10일조병세신의정원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4R
2009년 5월 13일김경효데스티네이션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4R
2009년 5월 23일정명훈단장의 능선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4R
2009년 6월 6일신상문황혼의 그림자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5R
2009년 6월 9일정종현데스티네이션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5R
2009년 6월 15일변형태신의정원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5R
2009년 6월 20일김창희아웃사이더아발론 MSL 32강 G조 2경기
2009년 6월 20일고인규단장의 능선아발론 MSL 32강 G조 승자전
2009년 6월 24일김도우황혼의 그림자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5R
2009년 6월 30일이성은데스티네이션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5R
2009년 10월 10일박상우신의정원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2009년 10월 20일이성은매치포인트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2009년 10월 28일구성훈데스티네이션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2009년 11월 9일정명훈투혼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2009년 11월 21일민찬기매치포인트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2009년 11월 24일박성균투혼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2009년 12월 1일김동건매치포인트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2009년 12월 9일구성훈투혼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R
2009년 12월 14일염보성매치포인트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R
2009년 12월 19일한동욱투혼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R
2009년 12월 22일박성균매치포인트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R
2010년 1월 4일이성은투혼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R
2010년 1월 10일박상우매치포인트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R



'''에이스 결정전 7연패''' (2010년 5월 16일 ~ 2010년 10월 16일)

날짜상대대회비고
2010년 5월 16일장윤철매치포인트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4R
2010년 6월 1일구성훈투혼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5R
2010년 6월 7일민찬기매치포인트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5R
2010년 6월 13일전태양투혼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5R
2010년 6월 20일조병세매치포인트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5R
2010년 6월 23일박상우투혼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5R
2010년 10월 16일도재욱매치포인트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1R
2010년 11월 30일박대호투혼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2R



'''위너스리그 대장전 32연승''' (2010년 1월 ~ 2011년 3월)

'''스타크래프트 II'''


  • '''2012년'''
  • MLG Starcraft II Invitational 초청전 우승(vs 2:0 김택용)
  • MvP 인비테이셔널 프로리그 진영 4강
  • MLG Fall Championship 3위
  •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 8강 (vs 2:3 김성현)
  • 핫식스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4 Code A 32강
  • 핫식스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5 Code A 32강
  • MLG Tournament of Champions 4강
  • '''2013년'''
  • 핫식스 2013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Code A 12강
  • 2013 MLG Winter Championship 준우승 (vs 2:4 이승현)
  • 2013 WCS 코리아 시즌 1 망고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Code S 16강
  • 제4회 인천 실내무도아시아경기대회 스타2 부문 국가대표 선발전 4강 - (이승현의 기권으로 대신 국가대표 자격 획득)
  • 제4회 인천 실내무도아시아경기대회 스타크래프트 II 부문 준우승 (은메달)
  •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 정규시즌 다승왕(42승)'''
  •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 정규시즌 테란부문 MVP'''
  • 2013 WCS 코리아 시즌 2 옥션 올킬 스타리그 16강
  • 2013 DreamHack Open: Bucharest 32강
  • 2013 WCS 코리아 시즌 3 조군샵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Code S 16강
  • IEM Season VIII - New York 16강
  • 2013 GSL Awards 인기상
  • '''2014년'''
  • 2014 WCS 코리아 시즌 1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Code A 48강
  • 2014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Global Tournament 16강
  • 2014 WCS 코리아 시즌 2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Code A 48강
  • SanDisk SHOUTcraft Invitational 준우승 (vs 2:4 김준호 )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통합 결승전 MVP'''
  • '''IEM Season IX - Toronto 우승 (vs 4:1 주성욱)'''
  • 2014 WCS 코리아 시즌 3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Code S 16강
  • 2014 KeSPA컵 4강 (vs 0:3 김준호)
  • MSI Beat IT 2014 8강
  • HomeStory Cup X 준우승 (vs 3:4 원이삭)
  • 2014 핫식스컵 라스트 빅매치 16강
  • 2015 네이버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시즌 1 챌린지 32강
  • '''2015년'''
  • IEM Season IX - World Championship 16강(vs 2:3 조성호)
  • 2015 스베누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시즌 2 챌린지 24강
  • 2015 스베누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 Code S 32강
  • 롯데홈쇼핑 2015 KeSPA컵 시즌2 4강 (vs 1:3 어윤수)
  • 2015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3 Code S 16강
  • GPL 2015 International Challenge 6강
  • GPL 2015 International Challenge Archon Mode 우승


'''기타 수상 및 기록'''

  • 스타크래프트 개인리그 10-10 클럽 달성 (스타리그 본선 13회, MSL 본선 11회 진출)
  • 역대 최연소 케스파랭킹 1위(만 15세 7개월)
  • 케스파랭킹포인트 최고득점신기록, 4천점 돌파, 종전기록 스스로 갱신(4200점)
  • 역대 일곱번째 5개월 연속 케스파랭킹 1위
  • 역대 세번째 13개월 연속 케스파랭킹 1위
  • 역대 세번째 14개월 연속 케스파랭킹 1위
  • 역대 최다 케스파랭킹 1위
  • 최연소 듀얼토너먼트 예선 통과(만 14세 9개월)
  • 최연소 스타리그 첫 승(만 14세 10개월)
  • 최연소 스타리그 결승 진출
  • 최연소 개인리그 우승(만 15세 8개월)
  • 최연소 골든마우스 획득 (만 17세 9개월, 박카스 스타리그 - EVER 스타리그 - 대한항공S2 스타리그)
  • 최연소 금뱃지 획득 (만 18세 6개월, 하나대투증권 MSL - 빅파일 MSL - ABC마트 MSL)
  • 3시즌 연속 스타리그 결승 진출 역대 2번째 기록 (임요환, 이영호)
  • 3시즌 연속 MSL 결승 진출 역대 5번째 기록 (이윤열, 최연성, 김택용, 이제동, 이영호)
  • 역대 4번째 골든마우스 (이윤열, 박성준, 이제동, 이영호)
  • 역대 4번째 금뱃지 (이윤열, 최연성, 김택용, 이영호)
  • 통산 17번째 스타리그 100전 돌파
  • 불멸의 양대리그 3시즌 연속 동시 결승 진출
  • 사상 초유 천하통일 (신한09-10프로리그 - 빅파일 MSL - 대한항공시즌2 OSL - 2010WCG)
  • 역대 2번째 양대리그 동시 제패 위업 (이윤열, 이영호)
  • 역대 최초 1년 단위 전 대회 결승 진출(09-10 EVER 09-10 네이트 대한항공시즌1,2, 하나대투증권 MSL, 빅파일 MSL)
  • 역대 최초 1년 단위 최다 우승 신기록(4회 우승 : EVER스타리그, 하나대투증권 MSL, 빅파일 MSL, 대한항공시즌2스타리그)
  • 프로리그 최연소(만 17세 5개월), 최소 경기(139경기), 최단 기간(2년 6개월 14일) 100승 돌파
  • 프로리그 최연소(만 19세), 최소 경기(269경기), 최단 기간(4년 8개월 7일) 200승 돌파
  • 역대 최초 프로리그 3년 연속 다승왕
  • 역대 최초 3시즌 연속 50승 돌파 대기록
  • 역대 최초 2시즌 연속 프로리그 결승전 MVP
  • 통산 프로리그 전적 역대 다승 1위, 다전 1위, 최고 승률
  • 통산 프로리그 포스트시즌 전적 역대 다승 2위, 다전 1위
  • 플토전 13연승 신기록
  • 테란전 22연승 신기록
  • 저그전 15연승
  • 프로리그 14연승
  • 공식전 14연승
  • 위너스리그 대장전 32연승 신기록(10년 1월 ~ 11년 3월)
  • 5전제 10연승 신기록
  • 역대 단일 시즌(09-10) 최소 경기(41) 최연소(만 17세 7개월) 공식전 50승(경기당 1.21승, 최고 승률 87.7%)
  • 역대 최초 1년 통산 승률 7할, 전 종족전 트리플 7할 대기록 달성
  • 역대 최연소(만 18세 6개월), 최단 기간(4년 6개월) 공식전 500전 돌파(최고 승률 71.8%)
  • 프로리그 최초 10시즌 연속 2자리 승수 달성
  • 스타리그 100승 달성(임요환, 홍진호, 송병구에 이은 4번째, 최연소, 최소경기, 최후)
  • 최연소, 최단기 스타리그 진출
  • 최연소 프로리그 첫 승
  • 최연소 스타리그 첫 승
  • 연간 개인리그 최다 우승 신기록 (4회 우승)
  • 역대 2번째 양대리그 6회 우승
  • 최연소 프로리그 100승 달성(17세 5개월) - 최단기간(2년 6개월 14일) - 최소경기(139경기)
  • 최연소 프로리그 200승 달성(19세 4개월) - 최단기간(4년 8개월) - 최소경기(269경기)
  • 역대2번째 공식전 400승 달성 최연소 - 최단기간(5년 2개월 12일) - 최소경기(558경기)
  • 브루드 워 우승자 출신 중 두 번째로 스타크래프트 2 WCS 글로벌 대회 우승
  • e스포츠 사상 최초이자 최후의 골든 그랜드 슬램(스타리그 골든 마우스, MSL 금배지, WCG 금메달) 달성


7. 출연 프로그램

8. 기타

이영호는 2010년 9월 11일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결승에서 이제동을 꺾고 골든 마우스를 획득했다. WCG 2010 스타크래프트 부문 그랜드 파이널에서 김구현을 2:0으로 꺾고 금메달을, ABC마트 MSL 2011 결승에서 김명운을 3:0으로 꺾고 금배지를 차지하며 프로게이머 최초로 '''골든 그랜드 슬램'''을 달성했다. MSL이 폐지되면서 이 기록은 '최초이자 최후'의 골든 그랜드 슬램이 되었다.[23] 2017년 11월 12일, ASL 시즌4를 우승하며 스타리그 3회, MSL 3회, ASL 3회 우승으로 '''3-3-3 클럽 최초 가입'''과 '''골든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 골든마우스, 금뱃지, 골든트로피, 금메달을 모두 보유한 유일한 선수가 되었다.

2007년 KT 롤스터에 입단한 이영호는[5] Daum 온게임넷 스타리그 (OSL) 데뷔전에서 김택용을 꺾고 4강에 진출했지만, 김준영에게 패했다.[6] 그 해 KeSPA 신인상을 수상했다.[7] 2008년 3월, GOMTV 스타 인비테이셔널과 Bacchus OSL에서 모두 우승하며, 두 결승전 모두 송병구를 꺾었다.[8] Bacchus OSL 우승으로 역대 최연소 OSL 챔피언이 되었다.[9] 2010년에는 8개의 주요 대회 결승에 진출하여 5번 우승했다.[4] 2011년에는 오른팔 수술을 받았다.[10] 2012년 9월까지 17개의 주요 토너먼트에서 우승했으며, ''스타크래프트'' ELO 기록을 6번이나 경신했다.[11]

2012년 ''스타크래프트 II''로 전향한 이영호는 2014년 Intel Extreme Masters Toronto에서 우승하며 첫 ''스타크래프트 II'' 주요 대회를 석권했다. 같은 해 KT 롤스터를 프로리그 우승으로 이끌었다. 2015년 12월 1일 은퇴 당시, ''브루드 워''에서 80%에 가까운 승률과 수년간 KeSPA 공식 랭킹 최상위권을 유지했다.[12]

이후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로 복귀, 2016년 2월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1] 그 해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 2에서 우승했다. 2017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 3에서 우승했으며,[13] ASL에서 3시즌 연속 '골든 트로피'를 획득했다. KT GiGA 인터넷 아프리카 스타리그(ASL) 시즌 4 결승에서 조일장을 3:1로 꺾고 3회 연속 우승, ASL에서만 1억 원을 돌파했다.[14] 2018년, Olleh TV 아프리카TV 스타리그(ASL) 시즌 6 결승에서 김정우(Effort)에게 패배했다.[15] 2019년 팔 부상으로 ASL 시즌 7을 건너뛰었으나, 다음 ASL 시즌 8에 참가하여 장윤철(Snow)을 4:0으로 꺾고 4번째 ASL 우승을 차지했다.

2020년 4월, 종족을 랜덤으로 변경하여 ASL 시즌을 플레이하겠다고 발표했다. 랜덤 종족 선택으로 프로토스, 저그, 테란 중 하나를 플레이할 3분의 1의 확률을 갖게 되었다.[16] "[T.E.N.] FlaSh Random Match" 이벤트에서 랜덤 종족으로 첫 경기를 치렀다.[17] BeSt에게 2–1로 패배했고,[18] ZerO에게 2–1로 패배했지만,[19] Bisu를 2–0으로 꺾었다.[20]

참조

[1] 뉴스 Lee young ho will start his personal broadcasting by Afreeca Platform. http://www.inven.co.[...] 2016-02-14
[2] 뉴스 Full circle: The whirlwind journey of Jaedong https://www.espn.com[...] 2023-03-23
[3] 뉴스 StarCraft legend Flash comes to Twitch and Razer https://www.gamespot[...] 2023-03-23
[4] 뉴스 The greatest StarCraft player of all-time has retired https://dotesports.c[...] 2023-03-23
[5] 뉴스 Starcraft Esports Legend 'Flash' Retires at 23 https://www.ign.com/[...] 2023-03-21
[6] 뉴스 Brood War for the soul - Episode 1 https://www.gamespot[...] 2023-03-21
[7] AV media Episode 1 - StarCraft - Team Razer: Great Games https://www.youtube.[...] Razer 2023-03-22
[8] 뉴스 Thorin's crucible: Age restriction - Riot's magic wand https://www.gamespot[...] 2023-03-21
[9] 뉴스 Flash: The End of a Legend https://archive.espo[...] 2023-03-21
[10] 뉴스 Esports needs to face its injury problem https://archive.espo[...] 2023-03-23
[11] 뉴스 Flash of greatness: StarCraft pro-gaming explored https://www.pcgamer.[...] 2023-03-23
[12] 뉴스 Lee “Flash” Young Ho, StarCraft’s Lebron James, retires from pro gaming at 23 https://www.pcgamesn[...] 2023-03-23
[13] 웹사이트 "[ASL3] Finals Recap- God Above All" http://www.teamliqui[...] 2017-07-19
[14] 뉴스 This is game, Afreecatv. game information http://www.thisisgam[...]
[15] 뉴스 이영호 탈락' ASL 시즌5 4강전 예고 http://www.khgames.c[...]
[16] 뉴스 "[OFFICIAL] After 13 years, Flash changes race to random for StarCraft: Brood War" https://www.invenglo[...] 2020-04-20
[17] 웹사이트 "[T.E.N.] FlaSh Random Match" https://tl.net/forum[...]
[18] Youtube FlaSh Random Match 1 l StarCraft Remasters l [T.E.N] https://www.youtube.[...]
[19] Youtube FlaSh Random Match 2 l StarCraft Remasters l [T.E.N] https://www.youtube.[...]
[20] Youtube FlaSh Random Match 3 l StarCraft Remasters l [T.E.N] https://www.youtube.[...]
[21] 웹사이트 브로커 관련 https://bj.afreecatv[...]
[22] 웹사이트 FlaSh's Crypto Scandal https://tl.net/forum[...]
[23] 문서
[24] 뉴스 라이브인터뷰, 3년차 프로게이머 이영호, '최종병기 스토리' http://www.fomos.kr/[...] 포모스 2009-10-30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웹사이트 KT Rolster 이영호 선수, KBS-1TV 과학카페 출연 http://www.gamemeca.[...] 게임메카
[29] 웹사이트 이영호, 박정석 선수 등 KT의 간판 선수들 출연, SBS 생방송 투데이 http://www.fomos.kr/[...] 포모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